모두에게 인정받고 칭찬받으려 하지 마라

2014. 7. 16. 12:20시,좋은글/좋은글

 

 

 

 

 

 

子貢問曰 : "鄕人皆好之, 何如?"
자공이 물었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그를 좋아하면 어떻습니까?"
 

子曰 : "未可也"
공자가 말했다. "좋은 사람이라 할 수 없다."
 

"鄕人皆惡之, 何如?
"마을 사람들이 모두 그를 미워하면 그 사람은 어떻습니까?"


子曰 : "未可也, 不如鄕人之善者好之, 其不善者惡之."
공자가 말했다. "그 역시 좋은 사람이라 할 수 없다.
이는 착한 사람이 그를 좋아하고, 착하지 않은 사람이 그를 미워하는 것만 못하다." 
 

 ***


이 문장은 자공과 공자가 주고 받은 대화다.
대화란 어떤 특정한 상황 속에서 발생하기 마련이다.
즉 자공이 저런 질문을 할 수 밖에 없는 어떤 상황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논어』에는 이런 형태의 대화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러한 점은
논어와 다른 고전들이 확연하게 구분되는 차이점이다.

 

제자의 질문에 대한 공자의 대답은 그 상황에 맞게,
그리고 그 제자의 기질, 성격, 배움의 정도에 맞게 주어진다.
공자의 대답의 특징은 비유에 있다.
즉, 정답을 알려 주기보다는 비유를 들어 설명하여
질문자 스스로가 깨닫도록 유도하는 데 있다.
 따라서 『논어』는 한 번 읽고 지나가는 글들이 아니라
몇 번, 몇 십번을 곱씹어 봐야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

 

사회생활이란 결국 다양한 조직과
모임 속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핵심이다.
사람마다 그 사람 고유의 유전자가 있듯,
내 주위에 있는 사람 모두가 각자의 성격과 기질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사람들 모두에게서 인정받고 칭찬받기란
결코 불가능한 일이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는 철저한 위선자이며, 기회주의자이며,
자기만의 생각과 가치관이 없는 텅 빈 사람일 것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이 좋아하는데
나쁜 사람이 미워하지 않는다면,
그는 모두에게 아첨하고 영합하는 사람일 것이다.
또 나쁜 사람이 미워하는데 착한 사람이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는 좋아할 만한 내용과 행실이 없는 사람이다.

 

 

출처 : 가슴에는 논어를, 머리에는 한비자를 담아라 /

글쓴이 이철 /도서: 원앤원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