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리지(8)
-
택리지 속의 백두대간
택리지 속의 백두대간 (<산수 (山水)>편 중에서) 백두대간이 등장하는 문헌 조사는 산림청에서 자료집을 펴냈고, 그 요약을 홈페이지에 올려놓아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다. 글쓴이는 산림청 홈페이지에 올려 놓은 요약본에 있는 부분을 원본에서 확인해 보려는 욕구와 언..
2010.11.10 -
산경표를 위하여
산경표를 위하여 백두대간의 기록 시작하며 예로부터 우리에게는... 무엇이 다른가? 산의원리 물의원리 강은 흐른다 산도 흐른다 이땅의 산줄기를 그려보면 1대간 1정간 13정맥 산과 강이 인간에게 부여하는 의미 산맥이란 ? 지리는 배워서 어디에 쓰나 산경표를 알고나면 산경표는 말한다 무엇이 잘못..
2010.07.17 -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의 지명과 변천사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의 지명과 변천사 1.백두대간의 이해 2.문헌에 나타나는 백두대간 3.산경표의 백두대간 4.고지도의 백두대간 5.산경표와 고지도에 나타나는 백두대간의 상이 6.山, 峰, 岳, 臺, 德, 嶺, 峙의 차이 ... 7.옛 지명과 현 지명의 비교. 1. 白頭大幹의 理解 ①백두대간은 우리의 영산인 ..
2009.11.16 -
조선시대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조선시대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양보경 /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1. 머리말 산지가 국토의 3/4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산지는 옛부터 사람들의 삶의 바탕이었다. 사람들은 산지를 생명의 원천으로 인식하여, 산을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산을 포함한 땅을 삶의 원형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2009.09.30 -
어부 안용복이 지킨 국토의 막내
어부 안용복이 지킨 국토의 막내 우리 민족을 소나무에다 곧잘 비유한다. 생태적으로 소나무는 다른 나무보다 참고 견디는 힘이 강하다. 뿐만 아니라 기름진 토 양에서보다 오히려 척박한 땅에서 그 생명력을 여실히 보여주는 나무이다. 나라가 어려울 때일수록 소나무 같은 인물이 그립다. 이번 기행..
2009.08.16 -
백두대간 문헌정리 요약
백두대간 문헌정리 요약 ('96.3월 산림청 발간) 백두대간 명칭사용에 대한 문헌고증을 통하여 용어 변천과정을 분석 정리한 것입니다. 1.조선시대 ▶ 산수관(山水觀) ○ 시대별 - 초기 : 자연을 우주의 형상으로 인식하고, 산줄기의 형상과 지세를 보고 그 속 에 흐르는 기를 파악하는 인문지리가 유행하..
2009.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