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 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2009. 7. 1. 19:09山情無限/山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표, 임은선, 김연준

                                                                       국토연 2004-34    정책 

                                                                        2004년12월31일    229

                                                                        7,000원    1971

 

 


[ 초록 ]

 


1장 서 론

이 장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 그리고 연구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일반적으로 우리 국민들은 산맥이름을 외우면서 처음으로 한반도 전체의 지형지세를 이해하게 된다. 그런데 1980년대 초부터 교과서에 수록된 한반도 산맥체계의 적합성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그러한 논쟁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한반도의 지형지세와 지질구조를 과학적 방법으로 정밀하게 분석하여 현행 산맥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올바른 산맥지도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먼저 관련문헌을 조사 분석했으며, 한반도의 지형을 3차원으로 재현하고 주요 산과 고개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GIS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우리산맥바로세우기 포럼? 창립하여 전문산악인들과 매월 1~2회 주요 산을 답사하고 현지에서 워크숍과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2장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의의

이 장은 선행연구, 산맥의 정의와 기준, 한반도 산맥체계의 실상과 문제 그리고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의의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지난 20여년 동안 현행교과서에 실려 있는 한반도 산맥체계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막상 우리나라에서 한반도 산맥체계에 대해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검증을 통해 재정립을 시도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문헌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산맥이란 ‘땅 위의 산봉우리가 길게 연속된 지형으로 그 규모와 연속성이 산맥분류기준’이 된다. 그런데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산맥체계는 1903년에 일본의 지질학자 고토분지로(小藤文次郞)가 제시한 땅 밑의 지질구조에 기반하고 있다. 특히 초·중·고등하교 지리부도에 실린 산맥체계가 교과서마다 조금씩 달라 학생들이 혼선을 빚고 있다. 한편 산경표의 백두대간체계를 주창하는 사람들은 과학적 검증절차 없이 고토분지로에 대한 비판만 계속해 왔다. 따라서 이제는 과학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 증거를 제시하는 연구를 통해 한반도 산맥체계의 실상을 파악하고 정확한 지식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정확한 산맥지도와 사이버지형은 국토를 바르게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새로운 장(場)을 제공할 것이다.

 

3장 전통지리서에 나타난 산줄기 체계

이 장에서는 선조들의 전통적 산 인식체계를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산줄기체계, 산경표의 백두대간체계, 개화기 지리서의 산줄기체계 등 전통지리서에 나타난 산줄기체계를 살펴보았다. 한반도 산세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그친다고 주장한 최초의 인물은 통일신라 후기의 도선국사(道詵國師)이다. 도선국사는 ‘우리나라의 지맥은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그치는데, 그 산세는 뿌리에 물을 품은 나무줄기의 지형을 갖추고 있다.(我國始干白頭終于智異 其勢水根木幹之地)’며, 우리 국토를 한 그루의 나무에 비유하였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백두산을 국토의 조종(祖宗)으로 보고 도읍지를 국토의 중심(中心)으로 보는 관점이 완연히 자리 잡게 되었다. 조선중기 이익의 성호사설에 백두대간이란 용어가 처음 등장했고, 조선후기 지리서인 산경표(山經表)에서 한반도 산의 줄기와 갈래 그리고 산의 위치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백두대간, 장백정간, 13개 정맥으로 산줄기에 위계를 부여하여 체계화했다. 이러한 조선시대의 전통적 산줄기체계는 대한제국의 개화기 시대 교과서까지 계승되었다.

 

4장 국내? 문헌의 산맥체계

이 장에서는 현행교과서에 수록된 산맥체계의 특징과 변천과정, 북한에서 재정립해서 발표한 내용, 외국 교과서의 산맥 표현방식 등을 정리하여 소개했다. 현행교과서에 지금의 산맥체계가 등장하게 된 것은 일본 지질학자들이 수행한 한반도의 산맥체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지리교과서에 소개하면서부터다.

20세기 들어 우리나라 산맥에 대한 연구의 문을 연 일본의 지질학자 고토분지로는 1900~1902년에 두 차례에 걸쳐 266일 동안 우리나라를 답사한 결과를 정리하여 1903년 동경제국대학기요(東京帝國大學紀要)에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조선산악론)?이란 영문논문을 통해 한국의 산맥을 발표하였다. 그 후 야쓰쇼에이(矢津昌永, 1904), 나카무라(中村新太郞, 1930), 고바야시(小林貞一, 1931), 다데이시(立岩巖, 1976) 등의 학자들이 우리나라 산맥에 대한 연구결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해 왔다.

또 독일의 라우텐자흐(Hermann Lautensach, 1945)는 저서 ?KOREA: 답사와 문헌에 기초한 지리학(KOREA : Eine Landeskunde auf Grund eigener Reisen und der Literatur)?에서, 태백산맥과 낭림산맥이 한반도의 척량산맥(脊梁山脈, 등뼈에 해당하는 산맥)으로서 원산호(元山弧)에 의해 하나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고 이를 한국 주산맥(Main Korean Range)이라 명명하였다.

1970년대부터 우리나라 지질 또는 지리 학자들 중에서도 김옥준(1970), 박노식(1971), 김상호(1977), 강석오(1985), 임덕순(1992), 권혁재(2000) 등의 학자들이 산맥체계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왔으나, 대부분 문헌 조사 및 비교 연구를 통해 산맥의 일부분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부분이었고, 구체적인 실증조사를 통해 과학적으로 전체적인 검증이나 재정립을 시도한 연구는 없었다.

한편 북한은 해방이후 산맥 대신 산줄기라고 표현을 바꾸었으나, 1995년까지는 고토분지로의 산맥분류 체계를 대체로 답습하였다. 다만 산맥분류, 산맥이름 등에서 부분적으로 남한과 차이를 보였다. 북한과학원 지리학연구소는 1996년 1월부터 산맥분류 체계를 재구성하여, 국토의 등뼈를 백두대산줄기라고 표현하고 산줄기는 백두대간의 흐름과 비슷하게 설정하였다. 북한의 산맥체계 연구보고서인 ?조선의 산줄기? 우리나라 산줄기체계에 남아있는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하여 산줄기를 새로 설정하였다고 서문에 명시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 교과서에 수록된 산맥체계의 표현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와 사회과부도, 중등학교 8종 사회과부도, 고등학교 12종 지리부도를 조사?분석하였다. 또 외국 교과서에서는 산맥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중국, 일본, 미국에서 출간된 대학 교재와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일본, 슬로베니아, 벨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총 10개국에서 출간된 교과서를 조사·분석하였다.

 

5장 지형과 지질분석을 통한 산맥체계 문제점 분석

이 장에서는 전통지리서에 나타난 백두대간체계와 현행 산맥체계에 대한 검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산맥의 특징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반도 전역에 대해 지형바탕의 수치표고자료(Digital Elevation Model, DEM), 지질현황도, 위성영상, 산봉우리와 고개(嶺)를 모아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DEM자료는 30m급 해상도를 가지고, 5,103개 산봉우리와 고개는 평면위치좌표(x,y)와 표고값(z)을 입력했다. 위성영상은 Landsat TM자료를 활용했다. 지질현황도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했다.

이러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지질현황을 분석하고 지형모델링을 실시한 결과를 현행 교과서의 산맥체계, 산경표의 백두대간체계, 북한의 산맥체계와 중첩 분석함으로써 각 산맥체계의 정확성을 검증했다. 그 결과, 현행산맥체계가 지질학적 근거에 의해 정립되었다는 학설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결론을 얻었다. 지질현황과의 유사성은 거의 없으며, 단층과의 유사성도 신뢰할 수 없는 정도로 약하다.

 

< 중 략 >

 

 

[ 목차 ]

발간사 ⅰ

서 문 ⅲ

요 약 ⅳ

 

1 장 서 론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4

 3. 연구범위 4

 4. 연구방법 4

 

2 장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의의

 

 1. 선행연구 9

  1) 선행연구 현황 9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0

 2. 산맥의 정의와 기준 12

  1) 산맥의 정의 12

  2) 특징에 따른 산맥의 분류 13

  3) 산맥의 개념과 기준 정립 15

 3. 한반도 산맥체계의 실상과 문제 15

 4.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의의 16

 

3 장 전통지리서에 나타난 산줄기 체계

 

 1. 전통적 山 인식체계 19

  1) 조선시대 이전의 山 인식체계 19

  2) 조선시대의 山 인식체계 20

 2. 조선시대의 산줄기 체계 21

 3. 산경표의 백두대간체계 23

 4. 개화기 지리서의 산줄기 체계 25

 

4 장 국내? 문헌의 산맥체계

 

 1. 외국 학자들의 한반도 산맥체계연구 27

  1) 고토분지로(小藤文次郞)의 연구 27

  2) 야쓰쇼에이(矢津昌永)의 연구 30

  3) 나카무라(中村新太郞)의 연구 31

  4) 다데이시(立岩巖)의 연구 31

  5) 라우텐자흐(Hermann Lautensach)의 연구 32

  6) 일제시대 교과서의 산맥분류 34

 2. 국내 학자들의 한반도 산맥체계연구 35

  1) 김옥준의 연구 35

  2) 박노식의 연구 36

  3) 김상호의 연구 36

  4) 강석오의 연구 37

  5) 임덕순의 연구 37

  6) 권혁재의 연구 39

  7) 국내 지리 및 지질 학계의 산맥분류 변천요약 40

 3. 북한의 산맥분류 체계 42

 4. 국내? 교과서의 산맥체계 44

  1) 국내 지리교과서의 산맥분류 변천 44

  2) 국내 교과서의 산맥체계 45

  3) 외국 교과서의 산맥체계 48

 

5 장 지형과 지질분석을 통한 산맥체계 문제점 분석

 

 1. 산맥체계 분석을 위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51

  1) 수치표고모델 51

  2) 지질현황도 52

  3) 위성영상 53

  4) 산봉우리 및 고개 53

 2. 산맥체계 분석을 위한 지형모델링 55

  1) 수치지형모델링의 개념 55

  2)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지형 분석 56

 3. 지질현황도 분석을 통한 현행산맥체계의 문제점 57

  1) 지질도와 현행산맥체계 비교 57

  2) 단층선과 현행산맥체계 비교 59

 4. 지형모델링을 통한 산맥체계 분석 62

  1) 백두대간체계 분석 62

  2) 현행산맥체계 분석 66

 

6 장 수치표고자료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맥체계 재정립

 

 1. 산맥의 설정 기준과 방법 71

  1) 산맥의 설정기준 71

  2) 산의 규모 설정 기준과 방법 72

  3) 산지의 연속성 판단 기준과 방법 73

 2. 지형모델링에 의한 산맥체계 설정 74

  1) 지형모델링에 의한 산맥체계 설정절차 74

  2) 산맥설정기준에 따른 산맥체계 설정 75

  3) 산맥체계의 분류기준 79

 3. 한반도의 산맥체계 재정립 80

  1) 한반도 주요 산맥 설정 80

  2) 현장답사 및 검증 89

 4. 새 산맥체계와 기존 산맥체계의 비교 91

  1) 새 산맥체계와 현행 교과서 산맥체계의 비교 91

  2) 새 산맥체계와 산경표 백두대간체계의 비교 91

  3) 새 산맥체계와 북한 산맥체계의 비교 92

  4) 새 산맥지도와 대동여지도의 비교 94

 

7 장 결 론

 

 1. 산맥체계 재정립의 의의와 효과 95

  1) 산맥체계 재정립의 의의 95

  2) 새 산맥지도 작성의 효과 97

 2. 연구의 특징과 한계 99

  1) 연구의 특징 99

  2) 연구의 한계 100

 3. 향후 연구과제 101

 

참고문헌 103

SUMMARY 107

 

부 록:Ⅰ. 이 연구에서 새로 정립한 산맥체계 113

       Ⅱ. 현행 교과서의 산맥체계 139

       Ⅲ. 산경표의 산맥체계 145

       Ⅳ. 북한의 산맥체계 157

       Ⅴ. 국내외 교과서의 산맥체계 표현 특성 191

       Ⅵ. 현장답사와 워크숍 215

       Ⅶ.「우리산맥바로세우기 포럼」홈페이지 및 사이버 백두대간 구축 225

       Ⅷ. 수근목간매화도(水根木幹梅花圖) 229






시나브로 블로그 / http://blog.dreamwiz.com/click21net


'山情無限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 / 김명수  (0) 2009.07.01
7 대륙 최고봉  (0) 2009.07.01
[북한의 책] 『조선의 산줄기』  (0) 2009.07.01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0) 2009.06.30
이우형과 <대동여지도> 그리고 백두대간  (0) 200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