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말 / 마종기

2019. 11. 27. 22:15시,좋은글/詩

 


바람의 말 / 마종기



우리가 모두 떠난 뒤
내 영혼이 당신 옆을 스치면
설마라도 봄 나뭇가지 흔드는
바람이라고 생각지는 마.

나 오늘 그대 알았던
땅 그림자 한 모서리에
꽃나무 하나 심어놓으려니
그 나무 자라서 꽃피우면
우리가 알아서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 되어서 날아가버릴거야.



꽃잎 되어서 날아가버린다.
참을 수 없게 아득하고 헛된 일이지만
어쩌면 세상의 모든 일을
지척의 자로만 재고 살건가.
가끔 바람 부는 쪽으로 귀기울이면
착한 당신, 피곤해져도 잊지 마,
아득하게 멀리서 오는 바람의 말을.


      
출처 :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 문학과지성사, 1980.9

 

마종기(馬鍾基, 1939. 1. 17. ~ )

 

1939년 1월 17일 일본 도쿄에서 출생.
아버지는 아동문학가 마해송이며, 어머니는 무용가 박외선.
부모로부터 예술적 자질을 물려받은 그는 어린 시절부터 시쓰기를 좋아했고
중학생 시절에는 이미 당대 ‘학원’ 문단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서울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 의과대학원을 졸업했다.
연세대 의과대학 본과 3학년이던 1959년  시 「해부학 교실」 등의 작품으로
박두진시인의 추천을 받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
1960년 첫 시집 『조용한 개선』 출간.
이 시집으로 연세대학교 제정 제1회 ‘연세문학상’ 수상.
1963년 연세대학교 의대 졸업, 공군중위 임관, 정현종 시인과 교유.
196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에 입학. 시동인 모임 〈시단〉에 가입.
동인으로는 문덕수, 신동엽, 이형기 등이 있다.
1965년 ‘재경 문인 한일 회담 반대 서명’에 참여
공군 방첩대에 체포되어 10일간 구류.
1966년 서울대 의과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후
박사 과정 입학하지만 공군 군의관 만기제대(대위) 직후 도미.
미국 오하이오 주 데이턴 시의 마이애미 밸리 병원 인턴으로 취직,
오하이오 의과대학 방사선과 조교수 겸 방사선 동위원소 실장,
오하이오 의대 소아과 임상 정교수 등을 지냈으며
오하이오 아동병원 초대 부원장 겸 방사선과 과장을 역임.
1975년 5년 오하이오 의과대학 졸업생 대표로 부터 이 해 최고의
교수상(골든 애플상) 수상. 조교수급 동양인으로서는 첫 수상.
1968년 김영태 황동규와 함께 3인 시집 『평균율 1』을,
1972년 『평균율 2』를 출간 등 꾸준히 창작활동을 했으며
2010년  『하늘의 맨살』에 이르기까지 계속 문제적 시집 출간
2002년 의사 은퇴 후에도 매년 봄과 가을, 한국을 방문하면서
연세대학교 초빙교수로서 강의. 시집과 에세이집 출간 등
문단의 현역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 중.

 

 

>작품세계<

마종기의 초기 시세계는 수련의로서 지니는 예민한 죽음 의식과

그로부터 비롯된 삶과 사물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특징으로 한다.

1966년 발표된 첫 시집 『조용한 개선』 에 실린 「해부학 교실 1」과

「해부학 교실 2」는 이를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나아가 1965년 발표된 두 번째 시집 『두 번째 겨울』에 실린

「정신과 병동」은 정신과 병동 환자의 눈을 통해 삶의 쓸쓸함을 노래한 것으로

이 작품은 마종기의 시세계 전반에 걸쳐 드러나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공감의 시선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도미 이후 마종기의 작품 세계에는 의사로서의 체험과

디아스포라 체험이 창작의 근간으로 놓여 있다.

도미 이후 발표된 그의 작품들에는 난해한 용어나 개념어들이 자주 등장하지 않지만

쉬운 언어를 통해서도 고통받는 인간을 대하며 느끼는 것들과 그로부터 비롯되는

따뜻한 사유는 독자에게 무리없이 전달된다.

네 번째 시집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와

다섯 번째 시집 『모여서 사는 것이 어디 갈대 뿐이랴』는

모국을 떠나 생활하는 전문의가 경험에 기초한 관찰을 통해

삶과 사물을 따스하게 감싸 안는 시선이 눈에 띄는 시집이다.

나아가 다섯 번째 시집 역시 타인의 고통에 대해

숙고하는 이의 목소리를 담고 있는데 이 시집의 해설에서 김현은 이에 대해

“나는 편안하게 살고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고통스럽게 살고 있다;

나는 그들의 고통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을 수 없다[2]라는

마종기 특유의 인식이 연대의식 혹은 공동체 의식의 소산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섯 번째 시집 『그 나라 하늘 빛』에서 존재론적 깊이에 대한 성찰에까지 이르는

마종기의 시선은 이제 타인의 고통과 이산(離散)의 정조를

구체성과 보편성의 문제로 확장시키는 단계에 접어든다.

그 결과 2010년 출간된 『하늘의 맨살』에 이르러서는 “상처와 치유,

순박함과 경건함, 내부와 외부로의 귀환마저 모두 전사(前事)”[3]로 간주하고

이를 동시대의 보편적 체험으로 끌어올리는 경지를 보여준다.

「디아스포라의 황혼」과 현대문학상 수상작인 「파타고니아의 양」 같은 작품은

이산의 비애에 따른 개별적 상처를 넘어서서 삶과 죽음에 대한

유장한 사유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수상경력<
•1961년 제1회 ‘연세문학상’
•1976년 한국문학작가상
•1989년 미주문학상
•1997년 이산문학상
•1997년 편운문학상
•2003년 동서문학상
•2008년 현대문학상
•2011년 박두진문학상

 

>대표작품<
•「정신과병동」

시인이 정신과 병동 학생 의사 시절 체험을 바탕으로 쓴 시,

정신과 병동 환자의 눈을 통해 삶의 쓸쓸함을 노래한 시.

시인 김수영이 1963년도 최고의 시라고 칭찬을 했다는 일화가 있음
•「바람의 말」

삶의 뒤안길에 대한 인식이 돋보임.

쉬운 언어로 깊이 있는 사유를 선보이는 시로 성찰적 시선과

삶에 대한 따뜻한 인식이 잘 드러나는 시
•「파타고니아의 양」

2008년 현대문학상 수상작품.

지평선의 끝인 파타고니아를 배경으로 삶과 죽음의 도저한

드라마에 대한 사유를 집중적으로 전개한 작품

 

>시집<
『조용한 개선』, 1960
『두 번째 겨울』, 1965
『평균율1』(공동시집), 1968
『평균율2』(공동시집), 1972
『변경의 꽃』, 1976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 1980
『모여서 사는 것이 어디 갈대들뿐이랴』, 1986
『그 나라 하늘빛』, 1991
『이슬의 눈』, 1997
『마종기 시전집』, 1999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 2002
『보이는 것을 바라는 것은 희망이 아니므로』, 2004
『우리는 서로 부르고 있는 것일까』, 2006
『하늘의 맨살』, 2010

 

>산문집<
『별, 아직 끝나지 않은 기쁨』, 2003
『아주 사적인, 긴 만남』, 2009
『당신을 부르며 살았다』, 2010

'시,좋은글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땐 왜 몰랐을까 외 / 정채봉  (0) 2019.12.14
12월 / 오세영  (0) 2019.12.02
11월 / 오세영  (0) 2019.11.02
사람은 무엇으로 크는가? / 박노해  (0) 2019.10.25
가을 / 김현승  (0) 201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