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브로(958)
-
백두대간 3차(3구간 : 여원재에서 복성이재까지)
백두대간 3차 (3구간 : 여원재에서 복성이재까지) 일시 : 2005. 12. 10(토) 날씨 : 흐렸다가 눈 구간 : 여원재-합민성터-고남산-매요리-사치재-88고속도로-아막성터-복성이재 (20km) 참석 : 백두대간 종주회 31명 누적거리 : 77km 1. 구간별 진행시간 ① 접근 12/10 00:30 신복로타리 탑승 (전용 버스 이용) 04:30 여원재 ..
2009.06.29 -
백두대간 2차(2구간 : 성삼재에서 여원재까지)
백두대간 2차 (2구간 : 성삼재에서 여원재까지) 일시 : 2005. 11. 12(토) 날씨 : 맑음 구간 : 성삼재 - 묘봉치 - 만복대 - 정령치 - 가재마을 - 수정봉 - 여원재 (20km) 참석 : 백두대간 종주회 35명 누적거리 : 57km 1. 구간별 진행시간 ① 접근 11/12 00:20 명촌 주차장 주유소 앞 출발 (전용 버스 이용) 05:20 성삼재 도착 ..
2009.06.29 -
백두대간 1차(1구간 : 천왕봉에서 성삼재까지)
백두대간 종주를 시작하면서 우리의 전통 지리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백두대간이라는 용어를 접하면서부터 학교 다닐 때 금과옥조로 알고 외웠던 산맥이름하며, 감명 깊게 읽은 소설중 하나가 태백산맥이라고 주저없이 말했던 것들이 부끄럽게 여겨지기 시작했다. 기회가 되면 꼭 백두산에서 흘..
2009.06.29 -
우리땅 산줄기(초록)
우리땅 산줄기(초록) - 조선시대 산경과 고지도에 의한 - 이우형(李祐炯) 초고/1994.6. 동해 들머리 한 민족이 한정된 땅에서 수 십 세기를 살아왔다면 지리적인 환경, 즉 그 땅의 지형 지세는 그들 사람의 생활 습관과 의식구조내지는 그 이상의 모든 분야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다. 현재 우리 땅에는 ..
2009.06.28 -
백두대간의 인식과 기록의 역사
백두대간의 인식과 기록의 역사 안 강 백두대간이 언제부터 이 땅을 이해하는 지리인식체계로 자리잡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간접적인 기록이나 지도 등을 통해 길게는 천 여년이 짧게는 수 백년이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당시의 인식이 현재와 같은 완결된 체계가 아니..
2009.06.28 -
대동여지도의 원형격인, 100년 앞선 고지도
대동여지도의 원형격인, 100년 앞선 고지도가 잠자고 있다 신경준의 북방강역도…백두대간 개념 정립한 실학자의 역작 신경준의 산수고보다 약 100년 후인 1861년에 고산자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 청구도, 동여도 등은 국보처럼 귀중하게 보존되어 있고, 김정호의 영정이나 동상, 기념표지석도 여..
2009.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