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서야/탈핵(54)
-
탈핵, GREENPEACE 캠페인
탈핵 한국은 구시대적이며 위험하고 비싸기까지한 원자력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투자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에 걸 맞는 안전하면서 경제적인 재생가능에너지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원자력발전을 추구하는 것은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지속 ..
2015.07.01 -
613 탈핵시민행동선언문
613 탈핵시민행동선언문 어제 정부는 수명 끝난 고리1호기를 폐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후쿠시마 사고발생 4년이 지난 시점 그리고 한국에서 원전을 가동하기 시작한지 38년만의 폐쇄결정입니다. 이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와 원자력발전은 양립불가하다는 대다수의 열망과 전국 곳..
2015.06.14 -
핵, 왜 위험한가
<핵 없는 사회> 핵, 왜 위험한가 이준택 건국대 물리학과 교수 원자와 원자핵 물질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구조는 원자(Atom)다. 원자의 크기는 대략 직경 0.1나노미터( 10-10m)다. 그 중심에 직경 10펨토미터(10fm, 10-14m)의 원자핵(Atomic Nucleus, 줄여서 핵)이 있고 전자가 그 주변에 마치 태양의 ..
2015.06.08 -
울산보건의료인 및 울산.부산지역 종교인 탈핵선언
2015년 5월 19일 오후2시 울산시청 프레스룸에서 노후원전 폐쇄를 요구하는 울산지역 의료인(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병원노조의료인 260명)들이 기자회견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어서 오후2시 30분에는 같은 장소에서 울산.부산지역 종교인 824명( 개신교 목사. 사관 43명/ 성공회 주교 및 사제..
2015.05.27 -
<핵에너지> 핵분열과 방사능
<핵 에너지> 핵분열과 방사능 이준택 건국대 물리학과 교수 방사능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흔히 방사능, 방사성 그리고 방사선을 명확히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하나씩 살펴보자. 우리가 통상 얘기하는 원자에서 전자구름의 형태로 원자핵 주변을 도는 전자의 에너지는 수십 eV..
2015.05.26 -
핵분열 에너지와 방사능
핵분열 에너지와 방사능 이준택 건국대 물리학과 교수 핵분열 에너지 1938년 베를린의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Kaiser-Wilhelm-Institut)’에서 한(Otto Hahn)과 쉬트라스만(Fritz Strassmann)이 최초로 원자핵을 분열시켰다(라틴어로 fissio=분열, 영어로 Nuclear fission). 당시 그들은 중성자를 이용해 우라..
201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