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여지도(21)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김정호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大東輿地圖》는 김정호가 1861년(철종 12)에 조선을 남북 22폭(또는 층)으로 나누어 만든 목판본 대축척 조선 지도책이다. 1864년(고종 1)에는 일부분을 수정하여 재판하였으며, 목판의 일부가 국립중앙박물관과 숭실대박물관 등에 현존하고 있다. 각 폭은 가로 80리, ..
2009.12.25 -
‘바람’처럼 살다 간 이우형
‘바람’처럼 살다 간 이우형 최 / 선 / 웅 일제가 날조하고 후대 학자들의 우매함 때문에 잘못 전해졌던 고산자 김정호 선생의 기록을 바로 잡느라 숱한 고생을 하셨던 형님을 생각하며 이 글을 씁니다. 산과 이우형 그는 1960년대 초 성우활동을 하면서 동료 성우인 박용기, 신원균 등과 어울려 산에 ..
2009.12.25 -
우리나라 고지도의 마무리 / 대동여지도
우리나라 고지도의 마무리 - 대동여지도 다시 보는 김정호 <대동여지도>가 잘 알려진 데 비해 제작자 김정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나마 전해 오는 일화로 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전국을 세 차례나 답사하고 백두산을 일곱 번이나 등정했으며, <대동여지도>가 완..
2009.12.06 -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의 지명과 변천사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의 지명과 변천사 1.백두대간의 이해 2.문헌에 나타나는 백두대간 3.산경표의 백두대간 4.고지도의 백두대간 5.산경표와 고지도에 나타나는 백두대간의 상이 6.山, 峰, 岳, 臺, 德, 嶺, 峙의 차이 ... 7.옛 지명과 현 지명의 비교. 1. 白頭大幹의 理解 ①백두대간은 우리의 영산인 ..
2009.11.16 -
4대강과 풍수, 그리고 세종시 / 김지하
4대강과 풍수, 그리고 세종시 김지하 나도 더는 그 따위 몰상식한 정책을 옳다 그르다 왈가왈부하지않겠다. 다만 나라를 위해, 국민을 위해, 참으로 하기 싫은 말 한마디를 한다. 도대체 이 나라에 대한 國土觀이란 것을 가지고나 있는가? 몇번이나 몇번이나 똑같은 말을 해야 되는 것인가? 대운하니 사..
2009.11.10 -
북한쪽 백두대간, 지도위에서 걷는다
백 두 대 간 (白頭大幹) 은 하 나 다 오직 한 줄기다. 남한 쪽 백두대간, 북한쪽 백두대간이 따로있는 게 아니다. 지리산 천왕봉에서 백두산 장군봉까지 물을 건너지않고 이어지는 분수령(分水嶺)인 백두대간(白頭大幹). 이 한줄기 산맥을 두고, 국토의 등뼈 구실을 하는 큰 산맥을 두고, 북한 쪽/남한 쪽..
2009.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