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여지도(21)
-
雪岳山의 地圖
雪岳山의 地圖 고지도에 나타난 설악산 현존하는 고지도 가운데 설악산의 명칭이 나타나는 가장 오래된 지도는 중종 25년(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첨부되어 있는 도별도(道別圖)일 것이다. 이 도별도는 목판본인데 판심(版心)에 ‘東覽圖’ 라 각인되어 있어 흔히 동람..
2009.07.17 -
[북한의 책] 『조선의 산줄기』
[북한의 책] 『조선의 산줄기』 ------------------------------------------------------------------------------------------ ◇ 북한 과학원 지리학연구소가 펴낸 '조선의 산줄기'. 지리학연구소는 94년 8월부터 이듬해 말까지 우리나라 지리와 산줄기 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와 재검토작업을 벌여 산줄기 체계를 새로 정립..
2009.07.01 -
이우형과 <대동여지도> 그리고 백두대간
이우형과 <대동여지도> 그리고 백두대간 희고 여윈 얼굴 희끗희끗한 머리칼. 산줄기마냥 불끈불끈 솟은 손등의 핏줄과 주름. 특유의 손짓과 서울사투리의 컬컬한 목소리. 목소리만큼이나 걸걸한 성격의 이우형 선생은 우리 나라에서 손꼽는 고지도 연구가로 '20세기 김정호'라는 별명이 붙어 다닌..
2009.06.30 -
대동여지도의 원형격인, 100년 앞선 고지도
대동여지도의 원형격인, 100년 앞선 고지도가 잠자고 있다 신경준의 북방강역도…백두대간 개념 정립한 실학자의 역작 신경준의 산수고보다 약 100년 후인 1861년에 고산자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 청구도, 동여도 등은 국보처럼 귀중하게 보존되어 있고, 김정호의 영정이나 동상, 기념표지석도 여..
2009.06.28 -
대동여지도 이야기
이 글은 [태백산맥은 없다] 252~260쪽, “대동여지도 이야기”부분입니다. 대동여지도 이야기 옛지도는 백성들의 일기장 고지도(古地圖)는 옛날지도다. 흐르는 세월 속에서 어디까지를 ‘옛날’로 치는가가 궁금해 참고서적을 뒤져 보았으나 그냥 ‘옛날’이라고만 적혀있었다. 그래서 일단 나는 항..
2009.06.28 -
고산자 김정호 이야기
고산자 김정호 이야기 이 글은 [태백산맥은 없다] 243~251쪽, "고산자 김정호 이야기" 부분입니다. 내용의 대부분은 이우형의 글과 가르침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위대한 평민 김정호의 삶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는 황해도에서 났다. 고향은 토산(兎山), 출생년대는 1804년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2009.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