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표(23)
-
조선시대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조선시대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양보경 /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1. 머리말 산지가 국토의 3/4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산지는 옛부터 사람들의 삶의 바탕이었다. 사람들은 산지를 생명의 원천으로 인식하여, 산을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산을 포함한 땅을 삶의 원형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2009.09.30 -
북한쪽 백두대간, 지도위에서 걷는다
백 두 대 간 (白頭大幹) 은 하 나 다 오직 한 줄기다. 남한 쪽 백두대간, 북한쪽 백두대간이 따로있는 게 아니다. 지리산 천왕봉에서 백두산 장군봉까지 물을 건너지않고 이어지는 분수령(分水嶺)인 백두대간(白頭大幹). 이 한줄기 산맥을 두고, 국토의 등뼈 구실을 하는 큰 산맥을 두고, 북한 쪽/남한 쪽..
2009.08.17 -
백두대간 문헌정리 요약
백두대간 문헌정리 요약 ('96.3월 산림청 발간) 백두대간 명칭사용에 대한 문헌고증을 통하여 용어 변천과정을 분석 정리한 것입니다. 1.조선시대 ▶ 산수관(山水觀) ○ 시대별 - 초기 : 자연을 우주의 형상으로 인식하고, 산줄기의 형상과 지세를 보고 그 속 에 흐르는 기를 파악하는 인문지리가 유행하..
2009.07.03 -
지도에서 백두대간을 만나자
지도에 백두대간 표기를 위한 서명운동 지도에서 백두대간을 만나자 백두대간, 너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길가의 작은 풀도 하나하나 들여다보고 제대로 된 이름을 알게 되면, 그때부터 작은 풀은 더 이상 잡초가 아니라 하나의 의미를 가진 생명으로 다가옵니다. 우리 사는 이 땅도 마찬가지입니..
2009.07.03 -
이우형과 <대동여지도> 그리고 백두대간
이우형과 <대동여지도> 그리고 백두대간 희고 여윈 얼굴 희끗희끗한 머리칼. 산줄기마냥 불끈불끈 솟은 손등의 핏줄과 주름. 특유의 손짓과 서울사투리의 컬컬한 목소리. 목소리만큼이나 걸걸한 성격의 이우형 선생은 우리 나라에서 손꼽는 고지도 연구가로 '20세기 김정호'라는 별명이 붙어 다닌..
2009.06.30 -
우리땅 산줄기(초록)
우리땅 산줄기(초록) - 조선시대 산경과 고지도에 의한 - 이우형(李祐炯) 초고/1994.6. 동해 들머리 한 민족이 한정된 땅에서 수 십 세기를 살아왔다면 지리적인 환경, 즉 그 땅의 지형 지세는 그들 사람의 생활 습관과 의식구조내지는 그 이상의 모든 분야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다. 현재 우리 땅에는 ..
2009.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