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정맥 4구간 (애미랑재에서 한티재까지)

2009. 7. 12. 15:55山情無限/낙동정맥(完)



낙동정맥 4구간 (애미랑재에서 한티재까지)



○ 산행일자 : 2007. 9.22(토) 07:50 ~ 15:12 (7시간 38분)
○ 산행날씨 : 흐림, 비 온후 갬
○ 참석인원 : 배용환, 김양미, 김위겸, 시나브로 (4명)
○ 산행거리 : 도상거리/ 18.5㎞           누적거리 : 79.4km
○ 산행코스 : 애미랑재-칠보산-새신고개-십지금강송-깃재-884.7봉-습지-?봉-길등재-한티재
○ 소 재 지 : 경북 영양군 수비면



1. 구간별 진행시간

① 접근

04:00            울산 종합운동장 출발

07:15            한티재 도착

07:20~45         애미랑재로 이동(택시)

② 구간별 산행 시간

07:50            애미랑재(610m) 출발

08:54~57         칠보산(974.2m)

09:45~51         헬기장

10:12            십지금강송

10:35~18         깃재

10:35~59         삼각점(소천25) 조금 지나 / 점심

12:22            습지

13:12~17         ?봉 / 휴식

14:10~30         길등재 / 휴식

15:12            한티재(430m)

③ 복귀

15:20            한티재 출발 (청송 / 저녁)

19:50            (청송 둘러) 울산 종합운동장 도착



2. 산행기록



어떤 때는 한 달에 무박을 4번이나 다닐정도로 강행군을 했지만
요즘은 대간과 낙동도 당일 출발하니 아침에 일어나긴 힘들어도 좋다.
3시에 일어나 아침을 챙겨먹고 가족들이 깰세라 살짝 집을 빠져 나온다.
3시 55분 울산 종합운동장. 당분간은 이곳이 우리들 접선장소다.
위겸씨가 먼저 와서 기다리고 있다. 영진씨는 사정이 있어 못 간단다.
용환씨 부부가 도착하자 곧바로 오늘 길을 가기위해 장도에 오른다.
출발할 때 별이 초롱초롱하던 하늘은 구름이 짙게 드리워져 있다.
병곡 휴게소에 들렀다가 다시 7번국도를 타고 가다 평해에서 88번 도로로
접어 들었다. 백암온천을 지나자 구절양장 아래로는 수십길 벼랑이다.
지난 달 시간에 쫓겨 이 길을 바삐 올랐던 기억이 아찔하다.




(날머리 한티재에 차를 주차시켜 놓고 들머리 애미랑재로)

오는 길 수비택시 기사와 어렵게 연결하여 한티재에서 만나
애미랑재로 향하는데 택시 기사님의 구수한 이야기들가 맛깔스럽다.
새벽에 연결이 안된 이유를 물으니 핸드폰을 집에 두고 들에 나가는 바람에
그랬다며 택시 수입만으로는 살기가 힘들어 농사도 함께 짓는다고 한다.
수하계곡과 왕피천 상류로 이어지는 917번 도로를 가는 도중 반딧불이
자연생태공원을 설명하면서 이 윗쪽 땅은 군이 비싸게 다 매입을 하고
농약을 뿌리지 못하게 하고 있는데도 반딧불이가 별로 없다고 한다.
산림욕장 이야기를 하다가... 일반인들은 휴양소 배정 받기가 하늘의
별따기같이 힘들지만 공무원들과 함께가면 없던 방도 생긴다며
공정할 것 같은 인터넷 신청이 오히려 편법을 합법화시킨다고 한다.
좋은 제도와 시스템이 있으면 뭣해 결국은 사람 문제인 것을...

수비개인택시/조희석 054-682-9400/9595, 017-804-9595




(오늘 구간의 들머리는 애미랑재 절개지를 타고 오른다)




(절개지를 타고 오르는데 하얀 구절초가 줄지어 인사를 하며 반긴다)




(숲이 열리면서 조망이 되는가 했는데... 봉우리 하나가 어뚝서서 버티고 있다)




(산지의 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자라는 물매화, 매화초라고도 부르군요)




(도라지도 캐며..., 근처에 몇 포기가 더 있었지만...)




(7)




(꽤 이름있는 칠보산은 흔한 정상석 하나 없었다)

산행을 시작하고 거의 1시간 동안 가파르게 치고 오르자 나타난
칠보산 정상에는 그 흔한 정상석도 없이 삼각점 2개만 나란히 있는데

하나는 '소천 306'이라는 삼각점이고
하나는 'ROKA MC'라고 음각한 콘크리트 기둥 중앙에 탄피가 박혀있는
말뚝이 그것이다. 오늘 구간 중, 유일하게 산이름이 있는 산이자
제일 높은 봉우리인 칠보산은 옛날 일곱 가지 철이 출토되어
칠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잡목이 사방을 가려 조망이 별로다




(제법 굵은 빗방울이 들어 우중 산행채비를 하고 떠난다)




(곤드레라고도 하는 고려엉겅퀴)

중부 이남 고산의 숲 속에 사는 국화과의 고려엉겅퀴
8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이 피는 식물로 한국특산식물로 알려져 있다.
지리산 정령치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정영엉겅퀴라고도 한다
간혹 발견되는 흰 꽃이 피는 개체는 고려엉겅퀴의 변이로 밝혀져
흰고려엉겅퀴라는 품종으로 정리되었다고 한다

바람에 흐늘거리는 모습이 곤드레 만드레 같아
곤드레라고도 불린다군요.




(호젓한 길, 가을비를 맞으며 걸으니 운치가 더한다)




(때로는 등로를 가로막고 누워있는 나무를 통과해야 하기도 하고...)




(이름모를 봉우리에서 잠시 휴식을 하고)




(구름바다 난간에 선듯한 소나무들)




(십지금강송 앞에서)

칠보산에서 한 시간가량 진행하면 십지금강송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금강송(적송)은 대나무처럼 곧게 자라는데 손가락처럼
10여 개의 가지로 뻗어있어 이름 붙여진 귀목이다.




(십지금강송의 가지들)

지도상에 '10지 춘양목'으로 표시해 놓은 지점이다.
우람한 금강송이 버티고 섰는데 굵은 가지가 나리꽃의 수술처럼
열 가닥이다. 그런데, 왜 지도상엔 '10지춘양목'이라고 했는가?
춘양목이란 소나무 이름이 아니고 일제 때 자원수탈로 경북 봉화군에 있는
영동선 춘양역에 벌목한 질 좋은 붉은 소나무를 모아두었다가 열차에 싣고
전국 각지로 수송하는 바람에 생긴 이름. 본래 이름은 금강송 또는 황장목으로
나무 속 부분(심재)이 황금처럼 누렇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곧고 질이 좋아 궁이나 사찰의 원목으로 사용했는데 조선시대에는
임금의 허락없이는 벌채도 하지 못한 귀한 소나무다.




(곧게 뻗은 모습은 준수하지만...)







(밑둥에는 이런 아픈 상처를 안고 있었다)

십지송을 지나서 885봉으로 오르는 능선곳곳에는 몇 아름의 노송들이
일재강점기 수난의 상처들이 아물지 않은채 처참한 모습으로 줄지어 서 있다.
태평양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자 일본은 부족한 연료를 얻기 위해서 울창한 숲의
아름드리 소나무들의 껍질을 벗기고 상처를 내어 송진을 채취했다는데
그 흔적들이 반세기가 훨씬 지난 지금도 그 때의 상흔으로 남아 있다.
이런 처참한 모습의 나무들이 수도 없다.




(깃재)

왼쪽으로 영양군의 신암리, 오른쪽으로는 봉화군의 시티골로 빠지는
갈림길로 옛날에는 기어 다닐 정도로 숲이 우거지고
길이 험해서 부쳐진 이름이라고 한다.




(깃재에 있는 낙락장송)




(오늘 낙동길에서 만난 송이. 튼실한 자연산 송이를 제법 땄다)




(이건 또 무슨 버섯이지?)




(쭉쭉뻗은 금강송 솔밭으로 낙동길은 이어가고...)




(왜 모딜리아니의 비련한 "쟌느 에퓨테른느"가 떠오르는지? 인간이 밉다.)




(바람에 흔들려 한참만에야 담은 흰잔대)







(소나무는 구름과 안개와도 친한가 보다. 잘 어울린다.)




(그 많은 시그널 중에서도 눈에 띄는 시그널이 있었으니...)




(정말 잘 어울리는 사람들... 이름하여 天生緣分이라지)




(이런 곳에 습지가...)

낙동정맥 마루금에 이렇게 큰 습지가 있다니...
진행방향 등로 왼쪽에 나타난 어림잡아 100여 평은 족히 될듯한 습지.
지리산 왕등재 습지같이 조사하여 보호하여야 할 것 같다.




(그냥..., 자연에 동화되어 구름처럼 바람처럼 숲을 지난다.)




(숲에는 온통 버섯들 천지다. 마치 궐기하듯이...)




(산에 들면 산이 되고, 숲에 들면 숲이 되고...)




(구절초가 있어 가을이 더 애틋하게 다가오는 것 아닌지?)




(노루궁뎅이버섯)

잠깐 쉬고 있는데 아름드리 참나무 중간에 큼직한 노루궁뎅이가
달려있는 것을 발견했다. 밑둥에 나무를 고이고 올라 스틱으로
땄는데 크기가 무려 주먹 2개 포갠 것 만한 귀한 녀석이다.
용환씨한테 술 담가 먹으라고 전해 줬는데
집에 와서 백과사전을 찾아보니...

노루궁뎅이의 털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노루궁뎅이버섯.
식품학적으로 자실체인 버섯은 탄수화물, 단백질, 아미노산, 효소,
무기염류 및 비타민 등이 풍부하고 지질과 열량이 낮다.
약리적효능 측면을 보면 경구 복용시 소화관질병,
즉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만성위염의 치료에 효과적인 성분 다량 함유.

특히, 노루궁뎅이 버섯은 항암효과, 치매(알츠하이머), 소화불량,
신경쇠약, 신체허약, 소화기계암 및 수술 후 재발 방지에 효능이 있고,
활성산소를 제거하며 머리를 좋게하고, 면역조절기능 효과가 있다며
실로 만병통치약같이 소개되어 있다.




(37)







(며느리밥풀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이 지방도 며느리 시집살이가 대단하였나 보다.)




(하늘이 열린 틈새로 먼산이 보이기 시작한다)







(참 잘생긴 녀석, 이 녀석들과 노닐고 싶지만...)




(42)

낙엽송지대를 좌측에 끼고 돌아서 가는데 간벌하여 버려진 나무들이
어지럽게 널려있다. 간벌은 나무가 잘 자라게 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간벌같지 않게 굵은 소나무를 무참하게 잘라 놓은 이유는 뭘까?
민가가 가까워졌는지 경운기소리가 들린다.




(돼지나물이라고도 하는 미역취)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꽃은 7 ~ 10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3 ~ 5개의 두상화
(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모여 피어 머리모양을 이룬 꽃)가
산방 꽃차례를 이루며 달리고 전체가 커다란 이삭을 형성한다.
두상화는 지름이 1.2 ~ 1.4cm이고 가장자리는 암꽃인 설상화가
1열로 배열하고 가운데에 양성화인 관상화가 여러개 있다.

한방에서는 식물체를 일지황화라는 약재로 쓰는데, 감기로 인한
두통과 인후염,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고, 황달과 타박상에도 쓰며,
종기 초기에 즙액을 붙인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개당귀)

미나리와 엇비슷하고 당귀와는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한데 당귀는 몸에 좋지만 개당귀는 맹독성을 가진 풀로
개당귀를 당귀로 잘못알고 중독된 사례가 많다고 한다.
7 ~ 9월에 흰색의 꽃이 피며 겹산형화서(겹?形花序/겹산형 꽃차례)다.
당귀는 자주색 꽃이 핀다. 지리산에 많이 핀다하여 지리강활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 중부이남에 분포하는 다년생초이다.




(가을산의 정취를 더하는 단아한 참취)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취나물, 취, 동풍채라고도 부른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8∼10월에 흰색 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리는데
어린 순을 취나물이라고 하여 식용이다.

우리나라에는 참취, 미역취, 개미취, 곰취, 분취, 수리취, 단풍취,
바위취 등등... 취나물의 종류가 대단히 많아서 대략 70여종이나
되는데 거의 다 나물로 먹을 수 있다고 한다.




(47)




(또 아가씨 가슴만한 봉우리 하나를 넘는다)




(일월면 계리와 수비면 발리를 연결하는 임도같이 넓은 얕은 고개 길등재)




(왕고들빼기)

들이나 야산에서 자라는데 꽃은 7∼10월에 피고
많은 두화(頭花)가 원추꽃차례[圓錐花序]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한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왕고들빼기와 비슷하지만
잎이 갈라지지 않고 바소(파침)꼴인 것을 가는잎왕고들빼기,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재배하는 것을 용설채라고 한다.




(51)




(52)




(홍조 띈 구절초도 있군요)




(세잎승마)




(55)




(언제 시간내어 가을억새가 장관인 영남알프스 사자평을 다녀와야 할 것 같다)




(드디어 88번 도로가 지나는 오늘의 날머리 발리 한티재)

한티재란 큰 고개란 순 우리말인데 한자로 대현(大峴)이라고 한다.
이 고개도 임진왜란 당시에 의병들이 왜군에 맞서 치열한 싸움을 하던 곳,
지금도 비가 오면 핏빛 같은 녹물이 바위에서 스며 나오고 있다고 하며
통로의 반석에는 많은 말발굽 자국이 지금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고 한다.

발리(發里), 수양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이 고장은
수비면의 중심지가 되어 면사무소, 파출소, 초중등학교와 우체국이 있다.
발리리의 발(發)은 시작을 뜻하며, 수비면의 첫 마을이란 뜻으로 풀이 할 수 있다.
1914년 행정구역을 고칠 때 화랑골, 용수곡을 합하여 발리리라 하였다고 한다.




(수수밭 뒤로 다음 구간 들머리가 기다리고... 가을은 수수와 함께 익어간다 )

다음구간 들머리에 헤어져 '낙동정맥 영양2구간' 지도는 제대로 볼 수
없지만 신경을 많이 쓴 것 같다. 지도를 새 것으로 갈아 줬으면 좋겠다.
또 간판 옆에 '추령6.6km, 제1구간, 해발430m 한티재'라며 서 있는
이정표는 낙동정맥 종주자를 위한 배려여서 더 감사하다.




(청송 현동면 시장통 안 국밥집, 오랫만에 제맛나는 국밥을 먹었다)

3시에 일어나 새벽을 밝히며 달려 애미랑재에 들어
우중에 낙동정맥 4번째 구간을 걸었지만 초반 칠보산을 오르며
땀을 흘린 것 빼고는 그렇게 큰 오르내림도 아닌데다
간간이 내린 비까지 땀을 식혀줘 좋았는데
쭉쭉 뻗어 오른 금강송과 이름모를 야생화들,
궐기하듯 피어 오르는 버섯들과 친구하며 노루궁뎅이도 몇 점 따고
튼실한 송이버섯도 따고, 도라지까지 캐며 실속도 있었다.

위겸씨가 주문한 송이버섯을 찾으러 청송에 들리는 길에
우리도 1kg씩 신청을 했다. 송이가 비싸다더니 그렇게 비쌀 줄이야.
그냥 취소할까하다 비싸고 귀한 것이어서 장인어른께 보내드리기로 하고
1kg을 구입했다. 튼실한게 보기에도 특상품이다.

참, 기다리는 동안 시장통 안 국밥집에서 먹은 소머리 국밥은
오늘 산행의 畵龍點睛이라면 과한 표현일까? 맛있다! 이구동성으로...
이렇게 즐거운 산행을 하고, 청송에 들려 귀한 선물까지 준비하고,
별미 식사로 마무리를 하니 낙동4구간은 또 하나의 의미가 되고
즐겁고 행복한 산행으로 이 또한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수고한 용환씨, 양미씨, 위겸씨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다음 구간에는 모두가 함께할 수 있기를...




시나브로 블로그 / http://blog.dreamwiz.com/click21net